옛신앙  2006년 6월 11일 [특별88호]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너희는 길에 서서 보며 옛적 길 곧 선한 길이 어디인지 알아보고 그리로 행하라. 너희 심령이 평강을 얻으리라' 하나, 그들의 대답이 '우리는 그리로 행치 않겠노라' 하였으며"(렘 6:16).

 

 

옛신앙

 

Old-time Faith

www.oldfaith.net

   '옛신앙'이란, 옛부터 하나님의 선지자들과 주의 사도들이 가졌던 신앙, 오직 정확 무오(無誤)한 하나님 말씀인 신구약 성경에만 근거한 신앙, 오늘날 배교와 타협의 풍조에 물들지 않는 신앙을 의미합니다.

121-884 서울 마포구 합정동 364-1 합정동교회  김효성 목사,
02-334-9874,  Fax: 02-337-4869,  E-mail:
oldfaith@oldfaith.net


 현대사회문제:                                     세계 선진국에 保守化 바람

[김범수, "세계 선진국에 保守化 바람," 미래한국, 2006. 5. 27, 1쪽.]

세계 주요 선진국들이 보수화(保守化)하고 있다. 90년대 공산권의 몰락이후 전 세계적으로 자유민주진영이 우세를 점하게 됐지만 각국 내에서는 보수·우파 대(對) 진보·좌파의 갈등이 불거져 왔고 이 가운데 점차 보수·우파가 대세를 얻게 됐다.

국내에서도 DJ정부 이후 진보·좌파정권이 연이어 들어서면서 소위 보수 대 진보의 대립이 첨예화 돼 왔지만, 최근 들어 보수주의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싹트고 있다.

한편 중국, 북한, 쿠바 등은 여전히 공산당이 집권하고 있고, 남미 및 일부 유럽 국가들에는 좌파·사회주의 바람이 불고 있어 세계적인 이념적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다.

보수주의는 자유주의사상에 기초를 두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자유민주주의체제를,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자유시장경제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사회변화에 대한 태도를 기준으로 하면 점진적 개혁노선을 표방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1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집권이후 정치·사회·문화 등 전분야에서 보수화가 급속히 진행돼 왔다. 공화당이 상하양원을 지배하게 됐고, 보수적인 라디오토크쇼와 폭스뉴스 등의 등장으로 좌파 일색이던 주류언론이 위축하게 됐다.

부시 미 대통령은 이라크전의 장기화, '일방주의적' 대내외 정책 등을 이유로 진보진영으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더 큰 압력은 그의 정책이 충분히 보수적이지 않다는 보수파내 지적이다.

레이건 대통령이후 미국 공화당집권의 1등 공로자로 알려진 리처드 비게리(Viguerie)는 22일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에서 "부시 대통령은 보수파처럼 말하지만 보수파처럼 통치하지 않는다"며 부시 대통령을 비난했다.

대표적 기독교보수 인사인 제임스 돕슨(Dobson)은 앞서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동성결혼과 낙태 문제 등에서 부시 대통령이 충분히 강경한 대응을 보여주지 않아 공화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영국에서도 보수진영이 강화되고 있다. 지난 4일 있었던 지방선거에서 야당인 보수당이 전체득표의 40%를 얻어 1위를 차지했고, 뒤이어 '온건자유주의' 노선을 표방하는 자유민주당이 여당인 진보 노동당을 앞지르고 2위를 차지했다. '기독교전통과 가치'를 부르짖는 우파 영국국민당(BNP)은 의석수를 27석이나 늘리며 약진했다.

일본에서는 고이즈미 총리가 보통국가론을 펼치며 정치·사회적 보수·우파 확산에 앞장서고 있고, 독일은 통일 이후 전 사회에 걸친 보수화가 이뤄지고 있다.

한국에서도 보수화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 16일 헤럴드경제와 더피플이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유권자 60%가 자신이 '보수'라고 답했다. 특히 20대와 30대에서 보수라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56.1%와 49.4%로, 진보라고 답한 유권자(27.1%/33.5%)를 압도했다. 보수 비율은 동 기관이 지난 1월 실시한 조사결과와 비교해볼 때 4.5%증가했고 진보는 6% 감소했다.

또한 작년 12월 리서치&리서치가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재벌개혁규제 완화 55%, 대북지원을 줄이거나 전면 중단해야 한다 65%, 국가보안법 현행 유지해야 한다 58%, 정부의 전반적 정책에 대한 반대 78.8% 등으로 국민의 보수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보다 앞서 작년 10월 중앙일보 조사에 따르면 자유민주주의체제라는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응답이 84%로 그럴 필요가 없다는 14%를 압도했다.

이 같은 보수화 바람을 타고 최근 뉴라이트운동 등 새로운 기류도 생겨나고 있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공동체자유주의' 등 좌우 중도통합론 같은 포퓰리즘이 대두되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3월 '국민과의 대화'에서 자신의 성향을 '좌파 신자유주의'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최광 전 복지부장관은 이와 관련, "여러 종교를 동시에 믿을 수 없는 것과 같이 좌우 이념에도 중도가 있을 수 없다"며 중도통합논리의 허구를 지적했다.

한편 세계 선진국들의 보수화와 이에 따른 남미와 중국 등 비선진국들에 대한 이념적 괴리는 힘의 원리에 바탕을 둔 현실주의적 국제질서의 형성과 군사적 대립의 가능성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박용옥 전 국방부차관은 "보수주의는 외교안보적으로 국가의 정체성 보존과 국가안위를 최우선 목표로 한다"면서 "새로운 국제안보환경 하에서 한국은 남북·한미관계를 지혜롭게 풀어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통보수의 나아갈 길

[홍관희, "정통보수의 나아갈 길," 미래한국, 2006. 5. 27, 3쪽; 안보전략연구소장.]

지난 8년 동안 김대중-노무현 좌파정권이 연속 출현함에 따라, 대한민국은 국가적 정체성과 정통성이 근본적으로 위협받는 역사적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국가와 사회가 혼란 국면에 들어서자, 다양한 의견과 정책 대안들이 범람하여, 오늘날은 그야말로 글자 그대로 ‘백가쟁명(百家爭鳴)’의 장면을 연출해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시점에 과거 좌파로부터 전향한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 뉴라이트(New Right)를 출범시킴에 따라, 국민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기도 했으나, 그 지향점과 노선 상에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아 작금(昨今)에 상당한 혼란이 일어나고 있다. 5월 22자 조선일보에 게재된 이선민 문화부 차장의 칼럼은 뉴라이트와 정통보수 간 노선 다툼에 관한 매우 정치(精緻)하고도 예리한 분석과 논평을 담고 있는 바, 이는 그동안 일어났던 논란에 비추어 시의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차제에 그동안 제기된 몇 가지 핵심문제들을 중심으로 뉴라이트와 정통보수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양측 간 선의의 경쟁과 협조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대한민국의 위기 극복에 일조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다만, ‘뉴라이트’도 실제로 ‘뉴라이트 재단’계열과 ‘뉴라이트 전국연합’으로 분화되어 있어, 구체적 의견과 정책노선에 상이점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세한 것은 추후 토론에 맡기고, 이번에는 지극히 원론적인 문제들을 몇 가지 짚어보기로 한다.

우선 뉴라이트와 정통보수의 공통점 중 첫째는 김대중-노무현 좌파정권에 대한 투쟁과 대안으로 출현하였다는 점이다. 친북·좌파 정권인 노무현정권에 대한 反테제로서의 대안 모색 곧 ‘반노(反盧)’ 전선은 양 진영의 가장 큰 공통분모다. 동시에 양측은 북한 김정일정권의 인권 유린에 분노하고, 북한 정권 민주화와 개혁·개방을 지지한다. 또한 ‘자유주의’라는 큰 사상적 카테고리 속에서 자유시장경제를 적극 지지하고 이런 점에서 노 정권의 좌파적 경제 처방에 강력히 반대하는 입장을 천명하고 있다. ‘작은 정부’나 ‘민간기업의 자율성 확대’ 등의 경제정책은 모두 이 범주에 포함된다. 그렇다면 무엇이 차이점이고 논란을 일으키는 부분인가? 먼저, ‘자유주의’라는 큰 사상적 조류를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측은 공통되나, 보다 정밀 분석해 보면, 뉴라이트와 정통보수 간 ‘자유체제’에 대한 인식에 있어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함을 발견하게 된다. 예컨대 뉴라이트는 ‘공산주의까지 허용되는 광범한 자유주의 사회’를 추구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정통보수는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곧 좌파)와 투쟁하는 마당에 어떻게 공산주의를 허용할 수 있는가 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뉴라이트는 이에 대해 반공(反共)은 더 이상 우리의 중심 테제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정통보수는 김정일정권이 살아 있는 한, 반공은 사라지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둘째, 북한·통일 문제에 관하여, 북한정권의 인권 탄압을 비판하고, 그 개선을 추구함에 공통적이나, 뉴라이트는 조기 통일은 바람직하지 않고 먼저 북한을 민주화하고 개혁·개방을 이룩한 다음 통일을 시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정통보수는 북한정권이 자행하고 있는 핵개발, 인권 탄압, 각종 범죄행위 등을 고려할 때, 동북아 불안의 최대 요인이며 만악(萬惡)의 근원인 김정일정권을 가능한 한 하루 빨리 종식시키고, 자유민주 통일을 이룩하는 것이 선(善)이라고 주장한다.

셋째, 국가보안법에 관하여, 뉴라이트는 제7조 고무·찬양죄의 폐기를 주장하는 바, 이는 이 조항이 사상적 자유를 침해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정통보수는 국가보안법은 이미 수차례에 걸쳐 수정·보완되었으므로, 더 이상 개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지금 상태로 수호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뉴라이트의 국보법 제7조 폐기 주장은 앞서 언급한 ‘공산주의를 포함하는 사상의 자유 보장’요구와 일맥상통하는 것이기도 하다.

끝으로, 한·미 동맹에 관한 인식인데, 정통보수는 한·미 동맹이 한국의 입장에서 단순한 선택 차원이 아닌, 우리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견지·강화되어야 할 외교노선이라고 주장하나, 뉴라이트는 한·미 공조 입장에 있어 계파 간 뉘앙스의 차이가 있어 보인다.

위 분석 결과, 뉴라이트와 정통보수는 상기 차이가 존재하나, 국가적 위기상황을 감안할 때, 감정적 편 가르기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모두 친북·좌파에 대항하기 위한 선의의 협조, 경쟁 그리고 ‘대동단결’의 자세를 견지할 필요가 있다.

정통보수는 이 나라를 건국하고 발전시켜 온 보수·우익의 원동력으로서, 이미 세계사적으로 판가름 난 사회주의·공산주의 폐해를 인식하고, (i) 자유민주주의·자유시장경제 (ii) 대한민국의 유일합법 정통성 (iii) 김정일정권의 종식과 자유민주통일 (iv) 한·미동맹 등을 핵심 강령으로 삼아 가일층 분발해야 할 것이다. 향후에도 끊임없는 쇄신과 개혁을 통해, 보수·우익의 사상과 정책 노선을 중심으로 이 나라를 구할 수 있다는 확신으로 전진해야 할 것이다.

   이제 나라를 정상으로 돌려 놓을 때다

[사설: "이제 나라를 正常으로 돌려 놓을 때다," 조선일보, 2006. 6. 2, A35쪽.]

대통령은 1일 “5·31 지방선거 결과를 民心(민심)의 흐름으로 받아들인다. 정부는 그동안 추진해 온 정책과제를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은 열린우리당에 대해 “위기에 처했을 때 당의 참모습이 나오는 법이며 국민들은 그 모습을 오래 기억할 것이다. 멀리 보고 준비하며 인내할 줄 아는 지혜와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통령이 선거 결과를 민심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다행스럽기도 하다. 이번에도 청와대에서 무슨 역발상(逆發想)이 나오지 않나 하고 걱정하는 국민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부가 지금까지 추진해온 대로 정책을 그대로 밀고 나가겠다고 하는 것은 방향을 잘못 잡은 것이다. 5·31선거에서 여당의 대참패(大慘敗)는 이 정권이 상식으론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나랏일을 해온 데 대한 국민의 심판이다. 따라서 그런 민심의 흐름을 깨달았다면 국정(國政)운영을 정상으로 돌려놓겠다는 자성(自省)과 변화의 의지가 제시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먼저 정권의 편의(便宜)대로 선정하고 추진했던 국가 정책과제를 국가적 우선(優先)순위, 국민적 우선순위에 따라 다시 정렬하고 새로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일의 선후(先後)와 완급(緩急)을 정해야 한다. 수백억원의 예산을 들여 국가기관마다 위원회를 설치해 과거사 정리라는 명목으로 벌이고 있는 과거사 뒤집기, 연관성(聯關性)과 효율성을 무시하고 공공기관을 전국 방방곡곡에 흩어놓는 사업, 구체적 실천방안 없이 계층간 지역간 갈등만을 부각시키고 있는 양극화(兩極化) 해소라는 구두선(口頭禪)은 정권의 정치적 필요는 있을지 몰라도 국민들이 절실하다고 여기지 않는 사업들이다.

한정(限定)된 국가자원을 이런 불요불급(不要不急)한 곳에 낭비하고 있는 사이 예산과 정성을 기울여 할 사업은 방치돼 있는 실정이다. 이 정부는 출범 이후 국가의 중요정책에 대한 백여 개 로드맵(이정표里程表)을 작성해 놨다면서도 국가와 국민의 오늘과 내일의 경쟁력이 달려있는 교육의 다양화(多樣化)와 질적 향상, 노사(勞使)관계 안정화방안, 주한(駐韓) 미군기지 이전, 경부고속철 천성산 터널공사 등 필수적인 일들을 시대가 변했다는 둥 이 핑계 저 핑계 대면서 내팽개쳐 둔 것이다. 그렇게 정권이 자기 책임을 회피하는 사이에 엄청난 국민 혈세와 국가 에너지가 허비됐다. 이 정권이 선거의 민심(民心)을 순순히 받아들이고 정치적 책략(策略)을 버리고 마음을 비웠다면 교육과 산업의 국가적 백년대계(百年大計)를 허물고 있는 민노총(民勞總)과 전교조(全敎組)를 향해서도 할 말을 못할 게 없는 것이다. 이 정권이 뼈대까지 흔들어 놓은 한미(韓美)동맹, 짓밟고 모욕했던 대한민국 역사도 제자리와 명예를 되찾아 줘야 한다.

이제는 나랏일도 헌법이 정한 방식에 따라 일을 처리해 나가야 한다. 이 정권에서 힘을 쓰는 사람들은 헌법에 따라 국정을 위임받은 장관들이 아니라 무슨무슨 위원장이라는 명함을 새겨 가지고 다니는 사람들이다. 대통령과 국무총리 아래의 수십 가지 각종 위원회들이 담당 부처도 모르는 엉뚱한 프로젝트를 벌이면서 국정운영은 잡화상이나 구멍가게 경영수준으로 뒤죽박죽이 되고 말았다. 이런 비헌법적(非憲法的)기관들을 정리하고 정부조직법이 정해놓은 대로 각 행정부가 관할 업무를 책임지고 이행하도록 해야 한다.

이 정권의 법정(法定) 임기는 1년 9개월 남았지만 내년 대선(大選)정국이 시작되기 전까지 실제로 일할 수 있는 기간은 1년도 채 남지 않았다. 대통령 말처럼 ‘멀리보고 뭔가를 새로 준비할’시점이 아니다.

이 정권에 남겨진 시간은 그동안 정권 사람들이 휘두른 말의 폭력이 할퀴고 간 사람들 마음의 상처를 다독이기에도 부족한 것이다. 이 정권은 무리한 욕심으로 새로운 업(業)을 만들어 그에 따른 업보(業報)를 치를 일을 더 이상 벌일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  

   대한민국의 제자리 찾기

[신지호, "대한민국의 제자리 찾기,"  조선일보, 2006. 6. 2, A34쪽; 자유주의연대 대표, 서강대 겸임교수.]

인간만사 새옹지마(人間萬事 塞翁之馬)라고 했던가? 17대 총선에서 단독 과반수를 차지한 후 기세등등하게 20~30년 장기 집권을 거론했던 열린우리당은 불과 2년 만에 존립 여부조차 불투명한 오리무중(五里霧中) 정당으로 변모했다. 집권여당이자 원내 제1당이 이처럼 단기간에 이렇다 할 정치적 변란도 겪지 않고 무너져 내린 경우는 세계적으로 그 유례를 찾기 힘들 것이다. 이 정부가 내건 ‘Dynamic Korea’라는 표어의 위력이 새삼 느껴진다.

그러나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 열린우리당의 급전직하(急轉直下)는 철저한 자업자득(自業自得)이다. 독선과 오만, 분노와 증오를 동력으로 미래 건설보다 과거사 뒤집기, 경쟁력 강화보다 잘 나가는 놈 뒷다리 잡기에 열중해 왔던 집권세력에 대한 국민적 실망과 염증이 표를 통한 준엄한 심판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러니 누구를 원망하랴. 누워서 침을 뱉은 자신을 탓할 수밖에.

정동영 의장은 성추행당, 공천비리당의 지지율이 왜 고공 행진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마술정치론을 제기했다. 그런데 마술을 부린 것은 다름아닌 열린우리당이었다. 주지하듯이 현실정치에서 투표는 최선이 아닌 차악을 고르는 행위로 나타난다. 열린우리당이 2년 전 한나라당의 차떼기를 부각시키기 위해 ‘소 도둑과 닭서리’라는 비교전략으로 톡톡히 재미를 본 것도 여기에 해당된다. 그런데 이제 상황이 뒤바뀌었다. 한나라당의 성추행과 공천 비리보다 자기 자식은 일 년에 수천만원 소요되는 고급 유학을 보내놓고 실업고에 찾아가 양극화 선동을 하는 이율배반적 강남 좌파에 대한 대중적 공분이 더 강함을 정 의장은 몰랐던 것이다.

좀 더 거시적인 맥락에서 보면 이번 선거 결과는 대한민국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지난 몇 년간 대한민국은 세계적 흐름에 역행해 왔다. 이미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낡은 좌파가 대한민국의 권력을 접수한 탓이었다. 이는 산업화시대의 적폐(積弊)가 청소되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한 대중적 공분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현 집권세력은 지난 3년간 자신들이 부정과 파괴에는 능하나 개발과 창조에는 무능하기 짝이 없는 집단임을 아낌없이 보여줬다. 그 결과 스스로를 민주평화 개혁세력이라고 아무리 포장해도 국민들은 곧이듣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을 김정일의 선거 응원을 받는 수구 좌파세력, 태극기를 괴롭히는 한반도기 세력으로 인식한다.

이는 시대정신이 교체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시대착오적 ‘우리 민족끼리’와 반(反)자유주의적 결과평등주의에 입각한 파행적 민주화는 이제 국민적 거부 대상이다. 대학가가 바뀌고 사이버 공간이 변하고 386세대가 주축인 40대의 민심이 돌아선 것이 이를 입증한다. 이러한 사회 저류의 근본적 변화가 있었기에 감성 자극용 전략전술도 먹혀 들지 않았다. 노무현의 눈물은 성공했지만, 강금실의 눈물은 실패했다. 김대업의 폭로는 대박을 터뜨렸지만, 김한길의 폭로는 쪽박을 찼다.

이 모든 것은 집권세력의 향후 대응이 보다 근원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80년대의 낡은 유물과 결별하고 핵심 콘텐츠를 바꾸는 환골탈태가 아닌 합종연횡이나 이미지 메이킹으로는 결코 실추된 신뢰를 회복할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지역 대립구도를 부활시키는 ‘서부벨트연합’, 남북정상회담, 개헌 등의 판 흔들기 수법은 오히려 부메랑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한편 대승을 거머쥔 한나라당이 가야 할 길도 멀다. 수난받는 야당 지도자의 탄생을 계기로 웰빙 체질을 불식시켜 ‘들판형 자유주의자들의 결사체’로 거듭나야 한다. 아울러 파행적 민주화시대를 종식시키고 희망의 선진화시대를 개막시킬 뚜렷한 비전과 전략을 창출하여 열린우리당이 싫어서가 아니라 한나라당이 좋아서 투표하는 적극 지지층을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게을리한 채 당내 대권 경쟁에만 골몰해 이전투구를 벌일 경우 여야 모두에게 마음을 줄 수 없다는 부동층의 증가로 2007년 대선은 또다시 미궁에 빠질 수 있다. 빅3의 대범한 판단과 멸사봉공(滅私奉公)의 자세가 요구된다.

   '마오(毛)' 인기의 비밀

[송의달, "'마오(毛)' 인기의 비밀," 조선일보, 2006. 5. 31, A30쪽; 홍콩특파원.]

요즘 중화권 매체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노병(老兵)이 한 명 있다. 마오쩌둥(毛澤東) 전 중국 국가주석이다. ‘10년 대동란’(1966~76년)으로 불리는 문화혁명의 총지휘자로, 최대 1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주범(主犯)인 그를 추념하는 열기가 중국 전역에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골동품 상가가 밀집해 있는 베이징(北京) 판자위안(潘家園) 거리와 광둥(廣東)성 선전(深?)의 뒷골목에는 마오 관련 기념품들이 상한가를 치고 있다. 그의 얼굴을 담은 기념 휘장과 도자기, 배지 등은 10여 년 전보다 가격이 최고 1000배 가까이 치솟았다고 홍콩 언론들은 전한다.

가령 1928년 징강산(井崗山)에서의 마오와 주더(朱德) 모습을 함께 담은 유화는 장당 20만 위안(약 2500만원)을 호가한다. 지난달에는 그의 저작을 통째 금으로 만든 권당 1만~2만 위안짜리 ‘황금서(黃金書)’가 저장(浙江)성 등에 등장, 선물과 소장용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지방과 서민들의 추모 열기도 상상 이상이다. 그의 고향인 후난(湖南)성의 성도인 창사(長沙)시는 미국 자유의 여신상보다 80m 이상 높은 동상 건립을 추진 중이다. 마오 키(183㎝)의 100배인 183m짜리로 세계 최고이다.

올 들어 탄광이나 각종 공사현장의 기공식 때마다 마오의 초상이 등장하고 있고, 집 안에 그의 사진이나 석고상을 모셔놓고 복을 비는 농민들도 부쩍 늘었다. 홍콩 언론들은 “마오가 가정의 복과 안위를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되살아났다”고 전했다.

공산당은 아예 문혁의 ‘과오자’라는 꼬리표를 떼고 복권을 사실상 선언했다. 당 기관지 광명일보는 얼마 전 이렇게 주장했다. “마오쩌둥이 당 역사에서 차지하는 지위는 시간이 갈수록 두드러진다. 그의 사상은 오늘날에도 중국적 특색을 지닌 사회주의 건설의 지도 사상이며, 우리는 이를 아무리 높게 평가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은 올 음력 설날 마오의 혁명 근거지였던 옌안(延安)을 찾아 마오의 혁명정신과 농촌 중시 사고를 배우자고 역설했다. 중화권 언론들은 “탄신 100주년(1993년) 이후 13년 만에 마오 열기가 가장 뜨겁다”고 평가한다.

이는 올 2월 말 사망 9주년을 맞았던 덩샤오핑(鄧小平)에 대해 관영언론과 당이 일절 침묵했던 것과 비교하면 ‘하늘과 땅’만한 차이다.

사회 전반의 급격한 자본주의·개방화 속에서 ‘덩샤오핑 퇴조’와 ‘마오쩌둥 부활’이 의미하는 바는 크다. 개혁·개방 이후 30여 년 동안 중국을 지배했던 선부(先富·먼저 부자가 된 다음 이를 확산한다)론에서 ‘다 같이 잘 살자’는 균부(均富)론으로 ‘국가경영 코드’가 바뀌는 신호탄이라는 지적이다.

홍콩의 중국 전문가들은 외국 기업·자본에 대한 반감 표출과 러시아·미얀마 등과의 연대 강화, 마르크스주의 연구 붐으로 상징되는 정통 사회주의 노선 복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분석한다. ‘몸통’은 자본주의지만, ‘머리’는 공산주의로 이념 무장을 굳게 다진다는 것이다.

북한과의 경제·군사·문화 등 다방면의 교류가 한층 긴밀해지는 것도 한 증표이다. 중국 사회의 이런 ‘대전환’은 한·중 관계에도 파장을 던지고 있다.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니 경제교류 급증 같은 자화자찬에 들뜰 게 아니라, 더 냉정하고 치밀한 ‘용중(用中·중국 활용) 전략’이 긴요한 이유이다.

 

◈ 우리나라의 이념적 안정을 위해 기도합시다.

 ------------------------------------------------------------------------

책 안내

전화: (02) 334-8291, 팩스: (02) 337-4869

김효성, 현대교회문제 자료집. 330쪽. 5000원(우송료 포함).

김효성, 신약성경강해. 1192쪽. 20,000원(우송료 포함).

김효성 역,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75쪽. 1,000원(우송료 포함).

김효성, 공산주의 비평. 28쪽. 700원(우송료 포함).

---------------------------------------------------------------------------------

'근본주의'는 성경의 근본교리들을 보수하고 자유주의 신학과 에큐메니칼 운동과 은사운동을 배격하고, 또 자유주의자들이나 포용주의자들과 교제하는 신복음주의 혹은 타협적 복음주의에 반대하는 입장과 노선을 가리킨다. ● 많은 사람들이 근본주의라는 말을 잘못 이해하고 비난하는 것 같으나, 오늘날 기독교계의 배교와 타협과 혼란의 상황에서 근본주의는 바른 입장을 적절히 표현하며 이 말 외에 오늘날 성경적 바른 입장을 표현할 만한 좋은 말이 없다고 본다. ● 그러므로 우리는 한국에도 근본주의적 교회들과 교단들이 있어야 하고 또 자유주의적 한국기독교회협의회[NCC]나 신복음주의적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또 근래에 구상되는 '한국교회연합'과 같은 잡동사니와 구별되는 근본주의적 초교파 협의체가 매우 필요하다고 믿는다.

www.oldfaith.net에 있는 자료들을 참고하십시오.